생활

🧺 2025년 전통시장 소상공인 지원사업 총정리

재근 2025. 4. 24. 15:30
728x90

 

“우리 동네 시장 상인을 위한 정부의 맞춤 지원책, 지금 확인하세요”

📌 왜 전통시장 소상공인만을 위한 제도가 필요할까?

전통시장은 지역경제의 뿌리입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면서 온라인 쇼핑, 대형마트, 편의점에 밀려
매출은 줄고, 고객층은 고령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 상인 유입은 드물고,
시설 노후화, 주차장 부족, 마케팅 부재 등 구조적 문제도 많죠.

이에 정부와 지자체는 전통시장 상인들을 위한 전용 지원책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더욱 확대된 예산과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 전통시장 소상공인 지원사업이란?

 

이 사업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인들을 대상으로
시설 개선부터 마케팅, 디지털화, 창업지원까지 폭넓게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운영 주체는 중소벤처기업부, 지자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이며,
사업별로 개별 신청 또는 상인회 단체 신청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주요 지원 항목별 정리


시설 현대화 사업 시장 내 낙후 시설 정비 간판·조명·화장실 개선 등
안전환경 개선 화재 예방 및 방재 시스템 구축 스프링클러, CCTV, 전기설비 정비 등
공동 마케팅 시장 자체 프로모션 및 SNS 광고 온·오프라인 홍보물 제작 지원
고객 편의시설 주차장, 쉼터, 육아시설 설치 지자체와 협업, 건축비 일부 보조
디지털 전환 온라인 결제, 무인결제 도입 제로페이, 키오스크 등 도입비 보조
청년몰 조성 유휴공간에 청년 창업 공간 조성 39세 이하 청년 창업자 대상 임대료 지원

📌 모든 사업은 시장 단위 또는 상인회 단체 기준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음
📌 일부 항목은 개별 상인 신청도 가능 (ex. 홍보 콘텐츠 제작비 지원)

 

 

📝 신청 방법

  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http://www.sbiz24.kr) 또는 지자체 경제과 공고 확인
  2. 지원하고자 하는 사업 유형 파악 후 신청서 작성
  3. 상인회 또는 개인 사업자 단위로 온라인 접수
  4. 심사 및 현장평가 → 선정 시 개별 통보 및 보조금 지원
 

소상공인24

 

www.sbiz24.kr

 

※ 지역별로 상이하며, 일부는 선착순 / 일부는 평가 후 선정 방식

 

 

💬 실제 사례

“우리 시장은 오래된 간판이 많아서 밤에는 찾기도 힘들었어요.
근데 간판 정비 지원 받아서 시장이 확 살아난 느낌이에요.
야시장 행사도 하고 매출이 30% 정도 늘었어요.”
– 충남 아산시 온천시장 상인회 회장 정OO님

“청년몰 조성 사업 통해서 전통시장에 입점하게 됐어요.
월 임대료가 거의 없고, 마케팅도 공공 지원 덕분에 잘 되고 있어요.”
– 대전 중구 청년몰 입점 창업자 박OO님

 

 

📌 꼭 알아야 할 포인트

  • 대부분 사업은 시장단위 신청이 많으므로 상인회 협의 필요
  • 예산 소진형 사업도 있어 지자체 공고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것
  • 일부 사업은 전통시장만 가능, 일반상가는 제외될 수 있음
  • 시설 개선 사업은 지분/임대 계약관계 증명이 필요한 경우 있음

 

 

🔎 함께 보면 좋은 제도


소상공인 협업 지원사업 전통시장 상인 공동브랜드 개발 등 소진공
전통시장 온라인 장보기 지원 배달앱 연계, 자체 플랫폼 구축비 지자체 별도 사업
전통시장 마케팅 지원 전통시장 전용 상품권, 라이브방송 등 중기부 or 광역지자체
시장 매니저 지원사업 전문 인력 상주 인건비 보조 상인회 신청 기반

 

 

✅ 마무리 요약

전통시장은 단순한 장터가 아니라 지역문화와 경제가 살아 숨쉬는 공간입니다.

2025년에도 정부는 시설 개선 + 디지털화 + 청년 창업 + 마케팅 강화를 통해
전통시장을 다시 지역의 중심으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내가 속한 시장이 어떤 사업에 해당되는지,
지금 바로 상인회나 지자체 경제과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