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제도
♿ 2025 장애인 취업지원 제도 총정리
재근
2025. 6. 2. 17:55
728x90
일하고 싶은 마음, 정부가 함께합니다.
✅ 이런 분들을 위한 글이에요
- “장애가 있어도 일하고 싶어요. 어디서부터 시작하죠?”
- “장애인도 직업훈련 받을 수 있나요?”
- “장애인 고용장려금은 개인이 신청하나요?”
👉 지금부터 2025년 정부의 장애인 취업지원 제도를 하나씩 정리해볼게요.
🧭 1. 장애인고용공단 – 취업상담부터 훈련까지 원스톱 지원
**장애인고용공단(KEAD)**은 전국 16개 지사와 직업능력개발원을 통해 상담 → 훈련 → 알선 → 사후관리까지 모든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어요.
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직업상담 및 진단평가: 시각·지체·발달 장애인 유형별 맞춤 직업 분석
- 취업알선: 기업과 구직자를 직접 연결, 1:1 상담 포함
- 훈련제공: IT, 사무, 바리스타, 제과 등 실무 위주 직무교육
- 채용박람회/구인박람회: 지역별 오프라인 취업 행사 상시 개최
- 심리상담 서비스: 장기 구직자, 훈련 수강자 대상 무료 상담도 가능
📍 공식 홈페이지: www.kead.or.kr
728x90
💼 2. 고용장려금 – 기업 유인을 통해 고용 확대 유도
장애인을 채용한 기업에게 월 최대 100만 원, 최대 24개월까지 지원해줘요.
- 지원대상: 정규직 또는 6개월 이상 고용한 사업주
- 장애유형 상관없이 신청 가능 (중증장애인은 우선 지원)
- 지급방식: 기업이 고용 후 공단에 신청, 서류심사 후 분기별 지급
- 추가 혜택: 장애인 고용률이 법정 기준을 넘을 경우 장려금 추가 지급 및 고용부 인증 혜택
🏫 3. 장애인 직업훈련 – 전 과정 무료, 훈련수당도 지급
전국 6개 지역에 있는 장애인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연령, 학력, 장애유형에 관계없이 다양한 직업훈련 과정을 운영 중이에요.
훈련과정 예시
기능직 훈련 | 제과제빵, 사무행정, 청소·경비 등 |
IT 훈련 | 스마트오피스, 엑셀, 디자인툴, 코딩 입문 |
원격훈련 | 집에서 온라인 실습까지 진행 |
중증장애인 과정 | 작업치료·직무보조인 연계 프로그램 운영 |
✔ 훈련참여 시 출석률 80% 이상이면 월 최대 30만 원 수당 지급됨
🚌 4. 장애인 취업성공패키지 – 생계와 훈련을 동시에 지원
고용노동부와 장애인고용공단이 함께 진행하는 통합형 지원 프로그램이에요.
- 참여대상: 중위소득 100% 이하, 구직 중인 등록 장애인
- 단계별 지원:
① 초기상담 →
② 직업심층 진단 →
③ 직업훈련(기관 연계) →
④ 취업알선 및 정착지원 - 지원금: 훈련비 외에 취업성공수당 최대 300만 원 지급
- 장점: 사후관리(3개월)까지 지원
📱 5.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
장애인고용포털 | 공단 공식 사이트. 채용정보·상담예약·장려금 신청 등 통합 관리 |
워크투게더 | 장애인 포함 전국 공공기관·기업 채용 공고 다수 |
장애인일자리알리미 | 장애유형별 맞춤 일자리 정보 필터 제공, 실시간 공고 알림 기능 |
📝 팁: 구직 시 ‘장애인 구분 모집 공고’에 체크하면 더욱 정확한 정보 확인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Q. 발달장애인도 취업 가능하나요?
A: 가능합니다. ‘중증장애인 지원고용제도’를 통해 작업장 현장실습 후 채용까지 연계돼요.
Q. 거동이 불편하면 훈련 못 받나요?
A: 원격훈련·재택실습을 활용할 수 있어요. 컴퓨터, 기초장비도 일부 제공됩니다.
Q. 이력서 작성 도와주는 서비스도 있나요?
A: 고용공단의 ‘직업상담사’와 연계 시, 이력서 코칭과 자기소개서 첨삭 서비스도 지원됩니다.
🌈 마무리하며
누구에게나 일하고 싶은 마음은 소중합니다.
장애가 있어도 일할 수 있는 사회, 정부가 만들어가고 있어요.
2025년엔 더 많은 장애인 취업지원 제도가 강화되니
지금부터 차근히 준비해보세요.
당신의 내일, 충분히 가능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