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가게 운영 중인데, 손님이 "제로페이 되나요?" "온누리카드 써도 되죠?"
이렇게 물어보신 적 있으셨죠?
요즘 결제 수단이 많아지면서 소상공인이 알면 유리한 결제 방식도 점점 다양해졌는데요,
특히 제로페이와 온누리카드는 둘 다 정부가 운영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주 비교됩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결제 수단을
📌 소상공인 입장에서 어떤 점이 다른지, 어떤 혜택이 있는지
2025년 기준으로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1️⃣ 제로페이란?
**제로페이(ZeroPay)**는
소상공인의 카드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지자체·민간이 함께 만든 모바일 간편결제 시스템이에요.
📱 손님은 QR코드를 찍고,
💳 돈은 가맹점 계좌로 바로 입금!
✅ 특징 요약:
- 중간 VAN사 없이 계좌이체 방식
- 카드사 수수료 거의 없음
- 소비자는 소득공제 40% 혜택
- 가맹점은 수수료 0~0.3%
2️⃣ 온누리카드란?
온누리카드는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발행된
정부 공식 선불카드/상품권 시스템이에요.
전국 전통시장·온누리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일부 온라인몰(우체국쇼핑, 온누리전통시장관 등) 사용처도 존재
✅ 특징 요약:
- 구매 시 할인 혜택 (개인 월 100만원 한도)
- 일정 기간 이벤트성 10% 할인
- 사용처는 전통시장 위주 (가맹 필요)
- 일반 음식점·카페에서는 사용 어려움
3️⃣ 혜택 비교표 🧾
제로페이 | 온누리카드 | |
운영 주체 | 정부+지자체 | 중소벤처기업부 |
수수료 | 0~0.3% (실질 無) | 없음 (선불 결제) |
사용 방식 | QR코드 + 앱 이체 | 실물카드 또는 앱 |
사용처 | 제로페이 가맹점 전체 | 전통시장 중심 |
소비자 혜택 | 소득공제 40% | 구매 할인 (이벤트 시 10%) |
가맹 등록 | 필요 (QR 부착) | 필요 (시장협회 또는 온라인) |
4️⃣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을까?
제로페이 | 온누리카드 | |
대상 범위 | 일반 소상공인 전반 | 전통시장 중심 |
유입 고객 | 스마트폰 앱 사용자 ↑ | 중장년층 or 온누리 프로모션 이용자 |
연말정산 | 소득공제 비율 높음 | 혜택은 소비자에 국한 |
💡 온누리카드는 판매 수단이라기보단,
일시적 매출 증가를 유도하는 이벤트 수단으로 보는 게 정확해요.
5️⃣ 자영업자라면 어떤 걸 도입할까?
👉 제로페이:
- 음식점·편의점·소매업 등 QR코드만 부착하면 간편하게 도입
- 앱 간편결제 소비자와 넓은 연령층 커버 가능
👉 온누리카드:
- 전통시장 입점 or 상권 공동마케팅 참여 시 필수
- 명절 전후 사용량 급증 → 이벤트에 따라 도입 여부 고려
6️⃣ 가입 방법 안내
📌 제로페이 가맹점 등록 방법
- 제로페이 공식 홈페이지 접속 (www.zeropay.or.kr)
- 사업자등록증 등 입력
- QR코드 우편 수령 후 부착
→ 약 3~7일 소요
제로페이 가맹점 홈페이지
언제나 사장님께 보탬이 되는 소상공인을 위한 플랫폼, 제로페이
www.zeropay.or.kr
📌 온누리카드 가맹점 등록
- 각 전통시장 상인회 또는
- 중소벤처기업부 온누리 홈페이지 (https://www.sbiz.or.kr/)에서 신청
→ 약 7일 이내 승인
소상공인24
www.sbiz24.kr
✅ 마무리 요약
상황 | 추천 결제 방식 |
일반 가게 운영 중 | 제로페이 (수수료 절감 + 간편 등록) |
전통시장/골목상권 입점 | 온누리카드 (명절·이벤트 매출 상승 가능) |
고정 매출보다는 이벤트성 매출 ↑ | 온누리카드 |
다양한 소비자 확보 + 연말정산 유리 | 제로페이 |
728x90
'정부지원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소상공인 온라인 판로지원 사업 총정리 (2) | 2025.05.08 |
---|---|
💸 2025년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 조건부터 신청까지 한눈에 총정리! (0) | 2025.05.08 |
💼 사업자등록 후 반드시 알아야 할 절세 꿀팁 7가지 (자영업자 필수 정보) (0) | 2025.05.08 |
🏚️소상공인 철거·이전 지원금 총정리 (2025년 기준) (0) | 2025.05.08 |
💼 자영업자도 고용보험 가입 가능! : 고용보험료 지원제도 (2)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