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서오세요

다양한걸 많이 씁니다

정부지원제도

💳 제로페이 vs 온누리카드 소상공인 결제 수수료 혜택 총정리 (2025년 비교표 포함)

재근 2025. 5. 8. 07:06
728x90

 

가게 운영 중인데, 손님이 "제로페이 되나요?" "온누리카드 써도 되죠?"
이렇게 물어보신 적 있으셨죠?

 

요즘 결제 수단이 많아지면서 소상공인이 알면 유리한 결제 방식도 점점 다양해졌는데요,

 

특히 제로페이와 온누리카드는 둘 다 정부가 운영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주 비교됩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결제 수단을
📌 소상공인 입장에서 어떤 점이 다른지, 어떤 혜택이 있는지
2025년 기준으로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1️⃣ 제로페이란?

 

**제로페이(ZeroPay)**는
소상공인의 카드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지자체·민간이 함께 만든 모바일 간편결제 시스템이에요.

 

📱 손님은 QR코드를 찍고,
💳 돈은 가맹점 계좌로 바로 입금!

 

 

✅ 특징 요약:

  • 중간 VAN사 없이 계좌이체 방식
  • 카드사 수수료 거의 없음
  • 소비자는 소득공제 40% 혜택
  • 가맹점은 수수료 0~0.3%

 


 

2️⃣ 온누리카드란?

 

온누리카드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발행된
정부 공식 선불카드/상품권 시스템이에요.

 

전국 전통시장·온누리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일부 온라인몰(우체국쇼핑, 온누리전통시장관 등) 사용처도 존재

 

 

✅ 특징 요약:

  • 구매 시 할인 혜택 (개인 월 100만원 한도)
  • 일정 기간 이벤트성 10% 할인
  • 사용처는 전통시장 위주 (가맹 필요)
  • 일반 음식점·카페에서는 사용 어려움

 


 

3️⃣ 혜택 비교표 🧾

 

  제로페이 온누리카드
운영 주체 정부+지자체 중소벤처기업부
수수료 0~0.3% (실질 無) 없음 (선불 결제)
사용 방식 QR코드 + 앱 이체 실물카드 또는 앱
사용처 제로페이 가맹점 전체 전통시장 중심
소비자 혜택 소득공제 40% 구매 할인 (이벤트 시 10%)
가맹 등록 필요 (QR 부착) 필요 (시장협회 또는 온라인)
 
 

 

4️⃣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을까?

 

  제로페이 온누리카드
대상 범위 일반 소상공인 전반 전통시장 중심
유입 고객 스마트폰 앱 사용자 ↑ 중장년층 or 온누리 프로모션 이용자
연말정산 소득공제 비율 높음 혜택은 소비자에 국한
 

💡 온누리카드는 판매 수단이라기보단,
일시적 매출 증가를 유도하는 이벤트 수단으로 보는 게 정확해요.

 

 


 

5️⃣ 자영업자라면 어떤 걸 도입할까?

 

👉 제로페이:

  • 음식점·편의점·소매업 등 QR코드만 부착하면 간편하게 도입
  • 앱 간편결제 소비자와 넓은 연령층 커버 가능

 

👉 온누리카드:

  • 전통시장 입점 or 상권 공동마케팅 참여 시 필수
  • 명절 전후 사용량 급증 → 이벤트에 따라 도입 여부 고려

 


 

6️⃣ 가입 방법 안내

 

📌 제로페이 가맹점 등록 방법

  1. 제로페이 공식 홈페이지 접속 (www.zeropay.or.kr)
  2. 사업자등록증 등 입력
  3. QR코드 우편 수령 후 부착
    → 약 3~7일 소요
 

제로페이 가맹점 홈페이지

언제나 사장님께 보탬이 되는 소상공인을 위한 플랫폼, 제로페이

www.zeropay.or.kr

 

📌 온누리카드 가맹점 등록

 

소상공인24

 

www.sbiz24.kr

 


 

✅ 마무리 요약

상황 추천 결제 방식
일반 가게 운영 중 제로페이 (수수료 절감 + 간편 등록)
전통시장/골목상권 입점 온누리카드 (명절·이벤트 매출 상승 가능)
고정 매출보다는 이벤트성 매출 ↑ 온누리카드
다양한 소비자 확보 + 연말정산 유리 제로페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