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은 시작했지만 경제적 여유는 부족한 청년들, 많죠?
저축은 어렵고, 미래는 불안하고…
그런 청년들을 위한 정부의 ‘목돈 마련 프로젝트’, 바로 청년내일채움공제입니다!
2년간 정규직으로 근무하며 매달 소액을 적립하면
정부와 기업이 돈을 얹어줘서 총 1,200만 원 이상을 만들 수 있는 제도예요.
청년이라면 누구나 꼭 알아야 할 이 제도, 지금부터 하나하나 알려드릴게요.
✅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자산형성 정책으로,
청년의 장기근속 유도, 중소기업 취업 유도, 청년 자산 형성을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예요.
💡 정규직 청년이 2년 동안 근속하면
본인 300만 원 + 기업 300만 원 + 정부 600만 원
👉 총 1,200만 원 + 이자를 만기 일시금으로 지급!
이건 단순한 적금이 아니라, **정부가 돈을 얹어주는 ‘보너스 통장’**이라고 보면 됩니다.
청년이 2년간 열심히 일하고 조금만 참고 납입하면, 1,200만 원의 목돈이 생기죠.
👥 누가 참여할 수 있을까?
🔹 청년 요건
- 만 15세 이상 ~ 34세 이하
- 정규직 근로자로 고용보험 가입 후 6개월 이내 신청
- 고졸 이상 학력 보유자
- 최근 2년 이내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이력이 없는 자
병역이행자는 복무 기간만큼 나이 제한이 연장돼요.
예: 2년 복무 시 → 만 36세까지 신청 가능
🔹 기업 요건
- 중소기업·중견기업 소속 정규직 청년 근로자
-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 상시 근로자 5인 이상 (일부 창업기업 예외)
- 3개월 이상 4대 보험 체납 이력이 없어야 함
💡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비영리단체는 참여 불가!
꼭 고용노동부 지정 요건을 충족해야 해요.
💰 어떤 혜택을 받게 되나요?
2년 동안 근속하면서 꾸준히 납입만 하면, 퇴직 시 목돈으로 큰 돈이 들어옵니다.
청년 적립금 | 총 300만 원 (매달 12.5만 원) | 청년 본인 |
기업 기여금 | 총 300만 원 | 고용주 (정부에 신청 시 지급) |
정부지원금 | 총 600만 원 | 고용노동부 |
총 수령액 | 1,200만 원 + 이자 | 2년 만기 시 일시금으로 수령 |
🔸 납입금은 매달 자동이체로 이뤄지며,
🔸 이자까지 포함하면 실제 수령액은 1,230만 원 이상!
📋 실제 수령 예시
- 홍길동(26세, IT 중소기업 근무)
→ 2025년 1월 공제 시작 → 2027년 1월 만기
→ 총 1,200만 원 + 이자 약 35만 원 = 1,235만 원 수령 - 김민지(30세, 디자인 스타트업 근무)
→ 중간에 육아휴직 3개월 → 휴직 제외하고 2년 이상 근속
→ 만기 수령 가능
🔸 단, 중도 퇴사 시 지원금 대부분 반환됩니다.
(자세한 유의사항은 아래 참고!)
📝 신청 방법 (단계별 가이드)
① 입사 후 6개월 이내 신청 필수!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정규직 채용일 기준 6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조금만 지나도 신청이 불가하니 꼭 확인하세요!
②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접속
→ 회원가입 후 공제 신청
→ 신청서 작성 및 기업 정보 입력
③ 기업 담당자 확인 및 공동 신청 진행
→ 담당자가 시스템에서 승인하면 고용센터 확인 절차 진행
④ 본인 납입계좌 개설 & 자동이체 설정
→ 공제 시작일 기준으로 매달 12.5만 원 자동이체
→ 별도 CMS 등록 필요
⑤ 공제 시작 → 2년간 유지 → 만기 수령
→ 고용센터에서 이직 및 근속 확인 후
→ 만기금 일시 지급 (세금 없이 전액 수령)
❗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
- 비정규직/계약직은 참여 불가 (정규직만 해당)
- 2년 미만 퇴사 시 정부·기업 지원금 모두 반환
(본인 납입금만 환급 가능) - 월 납입 지연 2회 이상 시 자동 해지 가능성 있음
- 근속 중 고용보험 이탈이 발생하면 자격 상실
💬 그 외에도 이직, 휴직, 군 입대 등 상황이 생기면
고용센터와 꼭 상담해서 유지 조건을 확인하세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Q. 프리랜서, 계약직도 가능한가요?
A. 아쉽게도 안 됩니다. 고용보험 가입된 ‘정규직 청년’만 참여 가능해요.
Q. 공제 중 다른 회사로 이직하면 어떻게 되나요?
A. 동일한 요건을 충족하는 다른 중소기업으로 이직 시 이전 가능합니다!
단, 1개월 이상 공백이 생기면 해지될 수 있어요.
Q. 납입 중 힘들어서 중단하고 싶어요.
A. 본인 사정으로 중도 해지 시에는 정부/기업 지원금은 받지 못하고
본인 납입금만 환급됩니다. 그래도 최소한 일부는 돌려받을 수 있어요.
Q. 대기업 다니는 친구는 못하나요?
A. 네,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에 한정된 제도예요.
청년내일채움공제는
✔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 중소기업의 인재 유출을 막고
✔ 청년에게 목돈까지 제공하는 일석삼조 정책이에요.
요즘 같은 시대에 2년 근속만으로 1,2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다니!
직장을 다니고 있다면 무조건 신청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 혹시라도 요건이 맞는다면 늦지 않게 신청하세요.
그리고 주변 청년 친구들에게도 꼭 알려주세요 😊
'정부지원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육아휴직 제도 총정리 – 자격, 급여, 신청법, 주의사항까지 (0) | 2025.04.18 |
---|---|
2025년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내일저축계좌 총정리 – 자격·혜택·차이점 비교! (3) | 2025.04.17 |
2025년 내일배움카드 완전 정복! – 직업훈련비 최대 500만 원 정부지원 (0) | 2025.04.17 |
2025년 국민취업지원제도 총정리 – 실업자, 구직자라면 꼭 알아야 할 지원! (2) | 2025.04.17 |
실업급여 중 취직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 법적 절차와 조기재취업수당 (2) | 2025.04.16 |